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잠실.삼전도비.석촌호수 / 가락동 비석거리공원
    나의 이야기 2018. 4. 1. 20:57

    서울 삼전도비(서울 三田渡碑, 영어: Samjeondobi Monument, Seoul) 또는 대청황제공덕비(大淸皇帝功德碑)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청나라의 전승비이며 송덕비이다. 병자호란 때 승리한 숭덕제가 자신의 공덕을 알리기 위해 조선에 요구하여 1639(인조 17)에 세워졌다. 19631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안내문>

    병자호란 때 청에 패배해 굴욕적인 강화협정을 맺고, 청태종의 요구에 따라 그의 공덕을 적은 비석이다. 조선 인조 17(1639)에 세워진 비석으로 높이 3.95m, 1.4m이고, 제목은 대청황제공덕비(大淸皇帝功德碑)’로 되어있다.

    조선 전기까지 조선에 조공을 바쳐오던 여진족은 명나라가 어지러운 틈을 타 급속히 성장하여 후금을 건국하고, 더욱더 세력을 확장하여 조선을 침략하는 등 압력을 행사하면서 조선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였다. 나라의 이름을 청으로 바꾼 여진족이 조선에게 신하로서의 예를 갖출 것을 요구하자 두 나라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결국 인조 14(1636) 청나라 태종은 10만의 군사를 이끌고 직접 조선에 쳐들어와 병자호란을 일으켰다. 남한산성에 머물며 항전하던 인조가 결국 청나라의 군대가 머물고 있는 한강가의 삼전도 나루터에서 항복을 하면서 부끄러운 강화협정을 맺게 되었다.

    병자호란이 끝난 뒤 청태종은 자신의 공덕을 새긴 기념비를 세우도록 조선에 강요했고 그 결과 삼전도비가 세워졌다. 비문은 이경석이 짓고 글씨는 오준이 썼으며, ‘대청황제공덕비라는 제목은 여이징이 썼다. 비석 앞면의 왼쪽에는 만주글자, 오른쪽에는 몽골글자, 뒷면에는 한자로 쓰여져 있어 만주어 및 몽골어를 연구하는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20103월에 송파구 석촌동 289-3번지에 위치하던 비석을 고증을 통해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삼전도비 → 서울 삼전도비)으로 명칭변경 (2011.07.28 고시)

    <내용>

    어리석은 조선 왕은, 위대한 청제국 황제에게 반항했다. 청제국 황제는 어리석은 조선 왕을 타이르고, 자신의 대죄를 납득 시켰다. 양심에 눈을 뜬 조선 왕은 자신의 어리석음을 맹성하고, 위대한 청국 황제의 신하가 되는 것을 맹세했다. 우리 조선은 이 청국 황제의 공덕을 영원히 잊지 않고, 또 청국에 반항한 어리석은 죄를 반성하기 위해서 이 석비를 세우기로 한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윤 / 유하 애기 적 영상  (0) 2018.04.08
    청계천 주변의 봄 풍경  (0) 2018.04.05
    용마폭포공원 주변의 봄소식  (0) 2018.03.31
    남한산성에서 본 서울 풍경  (0) 2018.03.31
    중구청 뜨락의 봄  (0) 2018.03.2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