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체낭독극-촌선생(村先生)나의 이야기 2024. 7. 17. 22:33
2024.7.17.(수) 19:30
중랑구민회관 대공연장
망우열전 이광래(1908.9.29~1968.10.29)편 입체낭독극
망우열전 이광래편 희곡 <촌선생>
193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된 이광래의 희곡으로 3막으로 『동아일보』에
1936년 1월5일부터 1월26일까지 연재되었으며,
그해 4월 극연구회의 제10회 작품으로 부민관에서 공연되었고,
1937년 중앙무대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아내를 일찍 여의고 두 아들을 키워낸 촌선생 ‘송해운’의
집안 갈등을 중심 주제로 삼고 있는 3막의 농촌극이다.
이 작품은 도시에서 신학문을 공부하고 신여성과 결혼까지 한 후
막연한 동경으로 고향을 찾아온 형 ‘달훈’과
어떻게 하든지 농촌 현실을 벗어나 보려고 발버둥치는 동생 ‘달근’사이의
현실인식의 차이를 통해서 식민지 현실의 질곡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성공하고 있다.
한편, 중랑문화재단은 2021년도부터 한국연극인복지재단과 공동 제작한 낭독공연 시리즈<망우열전>을
통해 망우역사문화공원에 잠들어계신 아동문학가 방정환, 시인 박인환, 영화감독 노필, 화가 이중섭,
소설가 김말봉, 소설가 김이석 선생의 삶과 작품을 소재로 한 공연을 꾸준히 진행해오며
중랑의 지역 특징을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광래 (1908.9.29~1968.10.29)
경상남도 마산 출신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일본 와세다 대학 영문학부에서 수학했다.
귀국 후에는 조선일보 기자로 근무했다.
1935년 극예술연구회에 참가하였고, 이후 극단 중앙무대에도 가입하면서 연극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 조선총독부의 지원으로 개최된 관제 연극경연대회에 〈북해안의 흑조〉를 출품했다.
이 작품은 1943년 열린 제2회 대회에 출품되어 박춘명 연출로 극단 황금좌가 공연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광복 후에는 극단 민예를 조직해 우익 계열의 대표적인 연극인으로 부상했고,
이후 극단 신협과 극예술협회의 대표를 맡으며 여러 단체에서 활동했다.
서라벌예술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1957년에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문단 데뷔작은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촌선생〉으로,
농촌을 무대로 한 사실주의적 희곡이다.
〈촌선생〉을 비롯한 초기작들은 유치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후기에는 차츰 표현주의적 경향으로 이동했다.
총 3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는 동안 계몽적 리얼리즘에서 출발하여 낭만적,
신파적인 상업주의 연극을 거쳐 표현주의, 상징주의를 도입한 반사실주의 희곡,
뮤지컬, 심포닉드라마 등을 차례로 실험한 이광래는,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형식을 추구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생일나기 2題 (1) 2024.08.03 장마속 중랑천 라이딩 (1) 2024.07.21 서해(曙海) 최학송(崔鶴松) 92주기 추모문화제 / 아사카와 다쿠미 출판기념회 (0) 2024.07.13 2024 제사 / 병관 회갑 축하 외 (0) 2024.07.08 드론으로 보는 우리 동네(면목현대 I PARK) (0) 2024.07.07